반응형 블루수소2 북극항로를 통한 신 수소실크로드 시대가 열린다. 부산항, 동북아 수소 물류 허브의 열쇠 인류는 신대륙의 발견으로 세계를 재편하며 해양 시대의 흐름을 바꾸어 왔습니다. 인도양 시대에서 지중해 해양시대를 거쳐 태평양 시대로 건너온 인류는 오랫동안 북극항로를 통해 동서 대륙을 직결하기를 꿈꾸어 왔으나, 북극의 혹독한 기후와 날씨는 언제나 그 꿈을 가로막았습니다. 그러나 지금으 지구온난화로 인해 그동안 꿈꾸어온 북극항로라는 인류의 소망이 마침내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대륙 국가로써 유럽으로 가는 실크로드가 오래전부터 있었지만 유럽으로 뻗어 있는 대륙횡단 철도·도로망은 북한의 정치·군사적 제약으로 인해 유럽까지 곧장 이어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과거 한반도를 관통하던 ‘대륙의 길’은 1953년 휴전 이후 막혀 버렸고, 이에 따라 우리는 부산항에서 인천·동해로 물량을 모아 배와 기차를 번.. 2025. 7. 30. 제1회: 왜 ‘수소 경제’인가? – 수소의 종류와 현재 상황 1. 수소 경제란 무엇인가?우리가 사용하는 ‘에너지’는 크게 전기·열·이동 수단(연료)으로 나뉘는데, 지금까지 이 모든 것은 석탄·석유·가스 같은 화석연료에 의존해 왔습니다. 문제는, 이런 연료가 탈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CO₂)가 지구온난화와 미세먼지를 유발하고, 언젠가는 다 써버릴 ‘유한 자원’이라는 점입니다. 수소는 단순한 산업 분야를 넘어, 생산, 유통, 활용 등 전반적인 가치 사슬을 아우르며 거대한 경제 생태계(생산-> 저장-> 운송->사용)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수소산업' 대신 '수소경제(Hydrogen Economy)'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 궁극적으론 화석연료를 서서히 대체해 나가기 위해 ‘수소(H₂)’를 에너지의 매개체(carrier)로 삼는 새로운 경제 시스템을 뜻합니다.생산: 재생.. 2025. 7.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