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많은 창업자가 ‘특허 출원’의 높은 벽 앞에서 한걸음도 떼지 못합니다. 비용 부담, 절차의 복잡성, 어디서 묻고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막막함이 그 이유인데요. 저 역시 그 길에서 망설였습니다. 하지만 여성기업(여성벤처기업) 등록을 계기로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특허 지원 프로그램을 경험하며 그 벽을 뛰어넘을 수 있었습니다. 이 장에서는 제 경험을 중심으로 특허청 등록 프로세스 A→Z, 출원서 작성 요령, 무료 상담과 온라인 특허 시스템 활용법을 단계별로 정리합니다.
1. 여성기업 등록 후 누린 특허 지원 혜택
- 특허·실용신안 출원료 50% 감면
- 지자체·중기청 특허 비용 지원사업 참가 자격
- 여성 창업 지원센터 내 무료 특허 멘토링
특히 “여성기업 글로벌 IP 지원사업”을 통해 국내 특허 출원료 전액 지원과 해외 PCT 출원비 일부 지원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지원 예산은 조기 소진될 수 있으니, 여성기업 등록 직후 공고를 꼭 확인하세요.
2. 특허청 등록 프로세스 A to Z
- 회원 가입 & 로그인 — 특허로(patent.go.kr) 가입
- 선행기술 조사 — KIPRIS에서 유사특허 검색
- 출원서류 준비 — 명세서(기술 배경·해결수단·실시예) & 도면
- 출원서 작성 — 온라인 ‘특허출원’ 메뉴에서 제출, 여성기업 감면 설정
- 심사청구 — 출원 후 3년 이내 심사청구, 청구료 50% 감면
- 등록료 납부 — 특허등록 결정 후 등록료 납부로 권리 발생
모든 과정은 24시간 온라인으로 가능하며, 여성기업 감면 혜택이 자동 적용됩니다.
3. 출원서 작성 요령
- 기술 배경 — 문제의 심각성과 기존 한계를 명확히
- 해결 수단 — 핵심 구성 요소와 작동 원리 기술
- 실시예 — 구체 수치, 도면, 실험 결과 포함
- 청구항 — 권리 범위를 넓고 포괄적으로 설정
‘왜 이 발명인가?’를 2문장 이내로 서두에 배치하면 심사관의 이해를 돕습니다.
4. 무료 상담 & 온라인 특허 시스템 활용법
- IP-NAVI — 월 2회 화상 상담, 1:1 질의응답
- KIPRIS — 특허청 공식 특허 검색 및 가이드
- KIPA — 무료 발명 상담, 사업화 교육 지원
- 여성벤처센터·혁신센터 — 현장 전문가 매칭, 워크숍 제공
이들 서비스를 통해 스스로 선행기술 조사와 초기 서류 작성 방향을 잡고, 변리사 없이도 기본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정부지원 프로그램 활용 전략
- 중기부 ‘기술보호 강화 지원사업’ — 연간 1천만 원 한도, 여성기업 우대
- 지자체별 발명보조금 — 서울·부산 등 시도별 차이 있음
- K-Startup ‘소재·부품·장비 특허 지원’ — 제조업 기반 기술 대상
- R&D 기획서 & IR 자료 연계 — 기술성 평가 보고서로 R&D 공모 참여
여성기업 추가 가점 프로그램을 놓치지 말고, 사업계획서에 확인서를 첨부해 지원하세요.
결론: 이내용은 내가 여성이라서 진행한 절차상 방법일 뿐 이외에 스타트업 창업관련 지원사항들은 중기청, 등 지원프로그램을 참고하기 --
특허 출원은 전략적 준비와 전문가 자문이 필요한 여정입니다. 여성기업 등록 후 누린 감면 혜택과 무료 자문은 내 아이디어를 시장으로 안전하게 이끄는 버팀목이 되었습니다.
“변화는 준비된 자에게 기회를, 권리는 행동하는 자에게 돌아온다.”
— 여성벤처기업 대표 이지은